카테고리 없음

스포츠클라이밍 대한민국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기!

도로롱백 2025. 10. 8. 18:05

스포츠클라이밍

1. 초창기: 산악문화와 전통등반의 뿌리

한국의 스포츠클라이밍은 처음부터 존재한 것이 아니라, 오랜 산악문화(登山文化)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전해온 결과입니다.

  • 일제강점기(1920~1930년대) 당시, 한국의 젊은 등반가들이 일본 등반가들과 교류하거나 경쟁하면서 국내 산악지대(특히 북한산, 설악산 등)의 암벽을 탐험하기 시작했습니다.
  • 이 시기의 등반은 지금의 ‘스포츠클라이밍’보다는 정상 정복을 목표로 한 등산형 암벽등반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 당시 장비는 단순한 로프, 아이젠, 해머 등으로, 볼트가 박힌 인공 루트가 아니라 자연 암벽을 그대로 오르는 전통 등반(Traditional Climbing) 방식이었습니다.

즉, 한국의 암벽등반은 ‘스포츠’라기보다 ‘산악활동의 한 형태’로 출발했습니다.


2. 1980년대: 스포츠클라이밍 개념의 도입

1980년대 들어 해외(특히 일본, 유럽)에서 유행하던 볼트 고정 루트와 난이도 중심의 스포츠클라이밍 개념이 국내에 도입되기 시작했습니다.

  • 국내 클라이머들은 외국 잡지나 해외 원정 등을 통해 ‘스포츠클라이밍’이라는 개념을 처음 접했습니다.
  • 서울, 대전, 부산 등지에서 볼트가 설치된 인공 암벽 루트가 하나둘 생겨났고, 루트 난이도 평가(그레이드) 개념도 도입되었습니다.
  • 1980년대 후반부터는 학교, 군부대, 클럽 중심으로 인공암벽 설치가 이루어졌고, 실내 암벽장이 생기면서 일반인도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

이 시기부터 ‘등산의 한 부분’이던 암벽등반이 ‘스포츠로서의 클라이밍’으로 분리되기 시작했습니다.


3. 1990~2000년대: 제도화와 대중화

  • 1990년대 들어 대한산악연맹 내에 스포츠클라이밍 분과가 생기면서 공식적인 대회가 개최되었습니다.
  • 1998년 제1회 전국 스포츠클라이밍 대회가 열리며, 본격적인 경기스포츠 체계가 만들어졌습니다.
  • 전국 각지의 실내암장(클라이밍짐)과 인공암벽장이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등반이 더 이상 전문 등반가의 전유물이 아닌 대중 스포츠로 자리 잡았습니다.
  • 2000년대 초반에는 학교 체육, 청소년 프로그램, 군사훈련, 동호회 활동 등 다양한 형태로 확산되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특히 경기용 인공암벽(리드, 스피드, 볼더링 등) 구조물이 표준화되었고, 국내 선수들이 아시아 대회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시작했습니다.


4. 2010년대: 세계무대 진출과 스타선수의 등장

한국 스포츠클라이밍이 국제적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2010년대 이후입니다.

  • 2010년대 중반, 천종원 선수(Chon Jong-won) 가 세계무대에서 활약하면서 한국 클라이밍의 위상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 2015년 IFSC 볼더링 월드컵 종합우승
    • 2017년 IFSC 월드컵 시리즈 3위
    • 2020 도쿄올림픽 출전 (스포츠클라이밍 올림픽 첫 정식종목)
  • 여성 부문에서도 서채현 선수가 등장하며, 세계 주니어 챔피언과 IFSC 월드컵 준우승을 거두는 등 주목받았습니다.
  •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스포츠클라이밍이 시범종목으로 채택되며, 국내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이 시기는 한국 스포츠클라이밍이 ‘전문 스포츠’로 완전히 자리 잡은 시기라 할 수 있습니다.


5. 2020년대: 문화와 산업으로 성장

스포츠클라이밍은 이제 레저·문화 산업으로 발전했습니다.

  • 전국적으로 300개 이상의 실내암장이 운영 중이며, 대학 클럽과 일반인 동호회가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 SNS와 유튜브를 통해 젊은 세대가 ‘도전적이고 멋진 스포츠’로 인식하면서 “볼더링 붐(Bouldering Boom)” 이 형성되었습니다.
  • 2025년에는 서울에서 IFSC 스포츠클라이밍 세계선수권대회가 개최될 예정으로, 한국이 아시아 클라이밍의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도 청소년 스포츠클라이밍 육성을 위해 학교 스포츠클럽, 공공암장 지원사업 등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6. 한국 스포츠클라이밍의 과제와 전망

▪ 과제

  1. 전문 연맹의 독립성 강화 – 등산 중심의 체계에서 벗어나 스포츠클라이밍 전용 협회가 필요함.
  2. 지속적인 선수 육성 시스템 – 초·중·고·대학으로 이어지는 선수 육성 파이프라인 구축이 요구됨.
  3. 시설 불균형 해소 – 수도권 중심의 암장 편중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 균형 발전이 필요함.
  4. 환경과 윤리 문제 – 과도한 볼트 설치나 자연 암벽 훼손 문제에 대한 지속 가능한 관리 방안 마련.

▪ 전망

  • 2020 도쿄올림픽을 계기로 스포츠클라이밍이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확정되면서, 한국에서도 국가대표 훈련체계가 강화되었습니다.
  • 2025년 서울 세계선수권을 계기로 국제 대회 유치 및 관광산업 활성화도 기대됩니다.
  • 장기적으로는 아시아권 클라이밍 허브로서의 입지를 확보할 가능성이 큽니다.

7. 연대표 (요약)

연도 주요 사건

1920~30년대 한국 최초의 암벽등반 시도 (북한산, 인수봉 등)
1980년대 스포츠클라이밍 개념 국내 도입, 인공암벽 등장
1998년 제1회 전국 스포츠클라이밍 대회 개최
2000년대 실내암장 급증, 아시아대회 진출
2015년 천종원, IFSC 월드컵 볼더링 종합우승
2018년 아시안게임 시범종목 채택
2020년 도쿄올림픽 정식종목 데뷔
2025년 서울 IFSC 세계선수권 개최 예정

한국의 스포츠클라이밍은 “산에서 시작해 도시로 들어온 스포츠” 입니다.
전통 등반 정신을 이어받아 기술, 문화, 경쟁이 결합된 현대 스포츠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제는 전 세계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수준에 도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