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SC 스포츠클라이밍 & 파라클라이밍(pare climbing) 세계선수권대회
개요
- 정식 명칭: IFSC Para Climbing World Championships Seoul 2025
- 일시: 2025년 9월 20일부터 25일까지
- 장소: 한국, 서울
- 주최 기관: IFSC(International Federation of Sport Climbing) — 국제스포츠클라이밍연맹
Para Climbing이란 무엇인가
“Para climbing”은 장애가 있는 선수들이 참가하는 스포츠클라이밍 대회입니다. 일반적인 클라이밍과 유사한 규칙 아래, 다양한 신체적·시각적 장애 유형(예: 시각장애, 사지마비, 상지/하지의 일부 절단 등)을 가진 선수들이 자신의 유형(Class)에 맞추어 경쟁합니다. 코스 난이도, 경기 포맷, 안전 장치 등이 장애 유형별로 조정되고 마련됩니다. 이 대회는 장애스포츠의 하나로, 장애가 있어도 최고의 기량을 겨룰 수 있는 국제적인 무대입니다.
서울 대회의 일정 세부 사항
서울 Para Climbing World Championships 2025의 대회 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 예선(qualifications)과 결승(finals)은 클래스 및 카테고리별로 나뉘어 진행됩니다.
날짜 시간 진행 내용
9월 20일 (금) | 오전 9시 | 예선 시작 |
9월 21일 (토) | 오전 9시 | 예선 계속 |
9월 24일 (수) | 오후 13:30 | 결승 일부 클래스 진행 |
9월 25일 (목) | 오후 13:30 | 나머지 결승 진행 |
장소(경기장)에 대한 구체적 정보는 일정표에 “Venue details”로 안내되지만, 공개 자료에선 “Seoul, KOR”만 명시되어 있으며, KSPO Dome 등의 시설 사용 여부는 해당 대회의 스포츠클라이밍 & ParaClimbing 전체 세계선수권행사와 연계됨을 고려할 때 가능성이 있음이 언급됨. (Facebook)
클래스 및 경기 형식
Para Climbing 대회에서는 장애 유형 및 정도에 따라 다양한 클래스(Class)가 설정됩니다. 예를 들어, 시각 장애(B1, B2, B3), 신체장애(AL, AU 등 일부 사지 절단 또는 제한), 손/팔 기능 제한(RP 등) 등이 있으며, 이 클래스별로 난이도 조정 등이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서울 대회 자료상 클래스 전체 목록이나 구체적인 참가자 수, 장애 분류별 규칙의 상세 내용은 공개된 정보 외에 추가 확인이 필요합니다.
경기 형식은 일반적으로:
- 예선 (Qualification)
모든 참가자가 클래스를 나누어 예선에 참가 → 완등 여부, 속도, 실수 수, 난이도 등으로 평가됨. - 결승 (Finals)
예선 통과자들만 참여하며, 더 높은 난이도/복잡한 루트(route)가 주어짐. 각 클래스별 우승자, 메달 결정.
중요성 및 파급 효과
서울에서 열리는 이 대회는 여러 면에서 의미가 큽니다:
- 국제적 위상 강화: Para Climbing은 장애 스포츠 중에서도 아직 성장 중인 분야인데, 세계선수권이 한국 서울에서 개최된다는 것은 한국 장애스포츠, 클라이밍 스포츠 양쪽에 큰 영향력.
- 장애 인식 개선: 장애를 가진 스포츠인들의 기량을 세계 무대에서 보여줌으로써 사회적으로 장애에 대한 편견을 낮추고, 다양성 존중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계기가 됨.
- 클라이밍 기반 시설 및 지원 확대: 국제 대회를 치르기 위해 서울 내 클라이밍 시설, 코치, 기술/안전 인프라 등이 개선되고, 향후 국내 장애클라이밍 선수 육성에도 긍정적 영향을 줌.
- 관광/문화적 효과: 국제 선수, 스태프, 관중 유입 → 지역경제에 대한 파급, 클라이밍 팬 문화 확산, 스포츠 관광 활성화 등 기대됨.
준비 및 운영 관련
- 등록(Registration) 및 정보 제공: IFSC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참가 등록, 선수 정보, 대진 배치, 규정이 공개됨.
- 미디어 및 영상 송출: 대회 중계 혹은 영상 클립, 뉴스, 하이라이트 등이 IFSC 채널 및 관련 미디어를 통해 제공될 가능성 높음.
- 안전 및 규정 준수: 국제적 기준(IFSC)의 안전 규정, 장애 유형별 규정, 장비 및 보호장구 사용 등이 준수됨.
- 장소 및 설비: 경기장, 관중석, 선수를 위한 준비 공간, 장애인 접근성 등이 확보되어야 함.
참고 정보 및 앞으로 확인해야 할 사항
아래는 이 대회에 대해 추가로 파악하면 좋은 정보들입니다:
- 참가 선수 명단과 국가
어떤 국가의 선수들이 어떤 클래스에 참가하는지, 인원 규모는 어느 정도인지. - 루트 디자인 & 난이도
예선 vs 결승 루트의 난이도 차이, 특정 장애 클래스용 루트 특성 등. - 심판 및 평가 기준
시간, 실수(faults), 완등 여부 등의 평가지표가 클래스마다 어떻게 다르게 적용되는지. - 관중 입장/티켓 정보
일반 관중이 입장 가능한지, 유료인지 무료인지, 좌석 배치 및 접근성 여부. - 부대 행사 및 부가 콘텐츠
선수 워크숍, 장애 이해 프로그램, 전시, 팬 이벤트 등이 있는지.
IFSC Para Climbing 분류(Classification) 규정 (영문 요약 + 해설)
영어 원문 요점
- IFSC는 패러클라이밍 참가자들이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장애의 유형과 그 장애가 클라이밍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바탕으로 “Sport Class”를 지정함.
- 현재의 Sport Class들은 다음과 같은 유형들을 포함함:
- 시각 장애 (Visual Impairment): B1, B2, B3
- 사지 절단 또는 팔다리 결손 (Limb Deficiency, Amputees): AU2, AU3, AL1, AL2
- 근력, 안정성, 이동성 등에 제한이 있는 유형 (Range of Power, RP1-RP3)
- 각 클래스 안에서도 “Sport Class Status”라는 상태가 있음:
- Confirmed (C): 장애 및 수행 능력 상태가 안정적이며 변동 가능성이 낮은 경우
- Review (R): 추가 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 Fixed Review Date (FRD): 평가를 해야 하지만 특정 날짜 이전에는 하지 않아도 된다고 정해진 경우
- Classification Not Completed (CNC): 평가가 완료되지 않아서 분류가 확정되지 않은 경우. 이 상태의 선수는 대회 참가가 제한됨.
- 장애 유형 (Eligible Impairment) 기준: IFSC 규정서에 따라 의료 문서 제출이 요구됨. 예: 근력 저하(impaired muscle power), 수동적 관절가동범위 제한(impaired passive range of movement), 사지 결함(limb deficiency), 다리 길이 차(leg length difference), 단신(short stature), 근긴장(hypertonia), 운동 실조(ataxia), 무정형운동(athetosis), 시각장애(vision impairment) 등이 포함됨.
- 프로세스:
- 의료 진단서 및 기타 문서(의사가 작성한 양식) 제출
- Classifier 패널에 의한 평가(Athlete Evaluation) → 장애 유형, 기능 제한 정도 등을 검사
- Sport Class 및 Status 할당됨. 필요시 재평가(protest, appeal) 또는 상태 재검토(review) 가능.
한국어 해설
IFSC 패러클라이밍 분류 체계는 단순히 장애 유무만 보는 게 아니라, 장애가 클라이밍에 실제로 미치는 정도에 따라 분류하고자 함이에요. 왜냐하면 같은 유형의 장애라도 기능적 영향(힘, 가동범위, 안정성, 균형 등)이 매우 다르고, 그 차이가 경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죠.
클래스 예시들을 보면:
- B1/B2/B3 (시각 장애)는 시력의 손상 정도에 따라 나누고, 경로(route)를 미리 보고 암기하거나 보이드를 인지하는 방식 등이 조정됨.
- AL / AU 계열은 팔다리, 특히 상·하지 절단이나 기능 상실 여부가 중요함. 예: 한쪽 팔이 없거나 손가락 기능이 제한된 경우, 다리 절단 혹은 양쪽 다리의 기능이 매우 떨어지는 경우 등이 포함됨.
- RP1-RP3는 좀 더 다양한 장애 조건들을 포괄함: 신경학적 장애, 근육 저하, 관절 제약, 균형 문제 등 “움직임의 범위, 안정성, 동작 파워” 등이 영향을 미치는 장애 유형이에요.
그리고 분류 상태(Status)가 중요한데, 한 번 할당된 클래스라도 선수의 상태가 바뀔 가능성이 있거나, 장애 진단이나 기능 평가가 미완인 경우에는 ‘Review’ 또는 ‘FRD’ 상태가 붙어요. 이렇게 하면 공정성을 유지하면서도 현실적으로 변화 가능한 부분을 감안할 수 있죠.
서울 2025 대회 장소 및 준비사항 정보 (영문 원문 + 한국어 해설)
영어 원문 요점
- 대회 장소: KSPO Dome, 서울, 대한민국. “IFSC Paraclimbing World Championships Seoul (KOR)” 공식 안내에서 위치는 “KSPO DOME, 424 Olympic-ro, Seoul Olympic Park, Seoul, KOR”
- 예선 및 본선 일정:
- 예선(Qualifications): 2025년 9월 20일, 21일 오전 9:00부터 시작됨.
- 결승(Finals): 9월 24일, 25일 오후 13:30 시작.
- 부대시설 및 트레이닝 환경:
- 훈련 가능한 장소: Gangnam Sports Climbing Center (서울 강남구 역삼동) 시설이, 2025년 9월 15일 ~ 28일 기간 동안 세계선수권 참가 선수에게 예약됨.
- “Sport Specific Tests”, “Health and Safety Screenings” 등의 절차가 있으며, 이 테스트 장소도 Traning Center 또는 지정 시설에서 진행됨.
- 기술 미팅(Technical Meeting): 참가 선수 및 관계자가 모여 규정, 일정, 안전 관련 사항 등을 공유하는 미팅이 예정됨. 예: 20일 개회식 전에 Technical Meeting 있음.
- 숙박, 이동: 올림픽파크 주변 호텔(예: Olympic Parktel Hotel 등) 또는 대회 장소 인근 숙박시설이 안내됨. 또한 Athlete들이 경기장이나 테스트/훈련 시설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교통편 또는 안내 있음.
서울 Para Climbing World Championships 2025은 KSPO 돔을 중심으로, 서울 올림픽공원 내 시설을 활용하여 치러질 예정이며, 예선과 결승 일정이 미리 정해져 있어요. 선수들은 본 경기 전 트레이닝 센터를 이용할 수 있고, 건강 및 안전 진단, 특정 기능 테스트 등이 경기 전후에 실시됩니다.
훈련 센터인 강남 스포츠 클라이밍 센터는 선수들이 사전 적응을 하거나 워밍업/스포츠 스페시픽 테스트(sport specific test)를 받는 데 활용되며, 이 기간 중 일정 비용(현금 지불 등)이 있을 수 있고 장소 예약이 체계적으로 되어 있음이 확인됨.
Technical Meeting도 일정상 포함되어 있어, 대회 규칙, 루트 세팅, 안전 장비, 분류(classification) 절차, 복장 또는 장비 선언(equipment declaration) 등 여러 사항을 조율할 것으로 보입니다. 선수 및 지도자라면 이 미팅에 반드시 참석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요.
숙박 및 이동 동선도 중요하게 준비되어 있음: 대회 장소와 훈련 센터 간의 교통, 숙소 위치, 이동 시간 등이 예측 가능해야 하고, 애슬리트(Athlete) 측에서 체력 관리나 준비 루틴을 계획하기 위해 꼭 파악해야 하는 정보입니다. 올림픽공원 인근 호텔이 주요 거점으로 보이니까요.
필요하시면 이 분류별 참가 선수 명단 (국가 + 선수)이나 각 클래스별 루트 예시 사진, 경기 동영상 링크도 같이 찾아드릴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