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리드클라이밍 장비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도로롱백 2025. 9. 18.
반응형

 

리드 클라이밍 필수 장비

1. 클라이밍 하네스(Harness)

  • 설명: 허리와 다리를 감싸서 로프와 연결되는 장비입니다. 체중을 안전하게 분산시켜 주며, 편안하고 튼튼해야 합니다.
  • 특징: 패딩이 충분한 제품이 장시간 착용 시에도 편안합니다. 조절 가능한 레그 루프(leg loop)가 있으면 다양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클라이밍 하네스

 

 

클라이밍 하네스는 여러 개의 핵심 파트로 구성되며, 각각의 역할이 분명합니다.

  • 웨이스트 벨트(Waist Belt)
    허리를 감싸는 부분으로 체중의 대부분을 지탱합니다. 조절 버클이 있어 체형에 맞게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패딩이 두껍고 통풍이 잘되는 소재를 사용하면 착용감이 향상됩니다.
  • 레그 루프(Leg Loop)
    양쪽 허벅지를 감싸며 하중을 분산시킵니다. 고정식(Fixed)과 조절식(Adjustable)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 빙벽 등 추운 환경에서는 조절식이 유용합니다.
  • 타이인 포인트(Tie-in Point)
    로프를 묶는 고리로, 상단과 하단 고리를 함께 묶어 로프를 연결합니다.
    이 부분이 마모되면 하네스 전체를 교체해야 할 정도로 중요한 부위입니다.
  • 기어 루프(Gear Loop)
    퀵드로, 슬링, 카라비너 등 장비를 걸 수 있는 고리입니다. 보통 2~4개가 있으며 리드 클라이밍에서는 더 많은 루프가 유리합니다.
  • 하울 루프(Haul Loop)
    후방 중앙에 위치하며 보조 로프나 장비를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클라이밍 하네스는 사용 환경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뉩니다.

  • 스포츠 클라이밍용
    가볍고 심플하며 착용과 해제가 빠릅니다. 인공암벽이나 스포츠 클라이밍에 적합합니다.
  • 알파인/빙벽용
    레그 루프가 조절식이라 두꺼운 옷 위에도 착용이 가능하고, 혹한기에도 편리합니다.
  • 멀티피치/전통 등반용
    기어 루프가 많아 장비를 많이 휴대할 수 있고, 장시간 착용해도 편안한 설계입니다.
  • 풀바디 하네스(Full-body Harness)
    어린이나 특수 구조 활동 시 사용하며, 상체와 하체를 모두 지지해 안정성이 높습니다.

클라이밍 하네스를 고를 때는 다음 항목들을 체크해야 합니다.

  • 착용감: 실제 착용 후 매달려 보고 압박감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 무게: 가벼운 하네스는 스포츠 클라이밍에, 튼튼한 제품은 알파인 클라이밍에 적합합니다.
  • 사이즈 조절 범위: 사계절 사용을 위해서는 조절식 레그 루프가 유리합니다.
  • 안전 인증: UIAA, CE 인증이 있는 제품을 권장합니다.

관리 및 점검 방법을 숙지해야 합니다.

  • 마모가 심한 타이인 포인트, 버클, 웨이스트 벨트 상태를 수시로 점검합니다.
  • 3~5년 이상 사용하거나 낙하 충격을 크게 받은 경우 교체를 권장합니다.
  • 세탁 시 중성세제를 사용하며, 직사광선을 피하고 그늘에서 말립니다.

 

2. 클라이밍 로프(Climbing Rope)

클라이밍 로프 이미지

  • 종류: 주로 동적 로프(dynamic rope) 를 사용합니다. 낙하 시 충격을 흡수하여 부상을 최소화합니다.
  • 굵기 & 길이: 리드 클라이밍에서는 보통 9.5~10.2mm 두께, 길이는 60~70m 정도가 일반적입니다.

클라이밍 로프는 사용 방식과 구조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1) 싱글 로프(Single Rope)

  • 용도: 스포츠 클라이밍, 인공암벽, 리드 클라이밍에 가장 많이 사용
  • 특징: 한 가닥만 사용하며, 빠른 확보와 간단한 로프 관리에 유리
  • 표시: 로프 한쪽 끝에 동그라미 안에 1 숫자가 표시됨(예: ⓘ1)

(2) 더블 로프(Double Rope, Half Rope)

  • 용도: 전통 등반, 빙벽 등 장거리 루트에서 활용
  • 특징: 두 가닥을 각각 다른 확보 지점에 걸어 충격을 분산시키고, 로프 마모를 줄임
  • 표시: 반원 기호 안에 ½ 표시(예: ⓘ½)

(3) 트윈 로프(Twin Rope)

  • 용도: 고산 등반, 빙벽 등에서 안전 확보용
  • 특징: 두 가닥을 항상 함께 같은 확보 지점에 걸어야 함
  • 표시: 두 개의 원 안에 점 표시(예: ⓘ∞)

구분 권장 규격 특징 및 비고

직경(Diameter) 9.4~10.2mm 스포츠 클라이밍: 9.5~9.8mm / 멀티피치: 9.8~10.2mm
길이(Length) 60~70m 국내 암장: 60m, 해외 루트: 70m 이상 권장
충격력(Impact Force) 8~9kN 이하 낮을수록 충격 흡수력이 좋음
신장률(Elongation) 동적: 26~40%, 정적: 5~10% 동적 신장률은 추락 시 충격 완화에 기여
낙하 계수(Fall Factor) UIAA 테스트 기준 5회 이상 버티는 제품 권장

인증 및 안전 규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 UIAA 인증: 국제산악연맹(UIAA)에서 정한 안전 기준 충족
  • CE 인증: 유럽 안전기준(EN892) 통과
  • 제품 구매 시 반드시 두 인증 중 하나 이상 확인이 필요합니다.

추가적인 정보!

  • 드라이 처리(Dry Treatment): 빙벽이나 습한 환경에서 로프가 물에 젖지 않게 방수 처리된 제품
  • 미들 마크(Middle Mark): 로프 중앙 표시로 하강 시 편의성 제공
  • 바이패턴(Bi-Pattern): 로프 양쪽 절반의 패턴이 달라 중앙 구분이 쉬움

3. 퀵드로(Quickdraw)

  • 설명: 볼트에 로프를 빠르게 걸 수 있도록 돕는 장비입니다.
  • 구성: 두 개의 카라비너(carabiner)와 나일론 혹은 다이니마 슬링(sling)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사용 방법: 한쪽은 볼트에, 다른 한쪽은 로프에 연결합니다.

4. 확보 장비(Belaying Device)

  • 종류: ATC, 그리그리(GriGri, 자동잠금 장치) 등 다양한 타입이 있으며, 파트너의 안전 확보에 필수적입니다.
  • 역할: 클라이머가 추락할 경우 즉시 로프를 고정해 추락을 방지합니다.

5. 카라비너(Carabiner)

  • 설명: 로프, 확보 장치, 하네스 등을 연결하는 금속 고리 장비입니다.
  • 형태: HMS형(벚꽃 모양) 카라비너는 확보 장치와 함께 많이 사용됩니다.
  • 잠금 방식: 스크류락, 오토락 등 다양한 잠금 방식을 제공합니다.

6. 헬멧(Helmet)

  • 필요성: 낙석, 추락,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합니다.
  • 특징: 가볍고 통풍이 잘 되는 제품이 인기 있습니다.

7. 클라이밍 슈즈(Climbing Shoes)

  • 설명: 바위나 인공 홀드 위에서 최적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특수 신발입니다.
  • 특징: 발에 꼭 맞게 착용해야 하며, 초보자는 편안함 위주의 플랫(flat) 형태를, 고급자는 공격적인 다운턴(downturn) 형태를 선호합니다.

8. 초크백(Chalk Bag) & 초크(Chalk)

  • 역할: 손의 땀을 줄이고 마찰력을 높여줍니다.
  • 사용 방법: 등반 중 허리춤에 찬 초크백에서 손을 쉽게 넣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추가 장비

  • 로프 백(Rope Bag): 로프를 보호하고 운반할 때 편리합니다.
  • 슬링(Sling)과 코드렛(Cordalette): 확보 지점을 만들거나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 프루직 코드(Prusik Cord): 자기 확보나 하강 시 백업용으로 활용됩니다.

결론

리드 클라이밍은 도전적이면서도 안전이 최우선인 스포츠입니다. 위에서 소개한 장비들은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등반자의 생명을 지켜주는 필수 요소들입니다. 초보자라면 경험자에게 사용법을 배우고, 정기적으로 장비를 점검해 안전하게 즐기시길 권장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