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클라이밍24

스포츠클라이밍 UIAA 알아보기! 스포츠클라이밍과 UIAA의 관계, 그 역사와 역할 스포츠클라이밍을 이야기할 때 자주 등장하는 단체가 있습니다. 바로 UIAA(국제산악연맹, International Climbing and Mountaineering Federation)입니다. UIAA는 단순한 스포츠 단체를 넘어, 클라이머들이 안전하고 공정하게 산을 즐길 수 있도록 돕는 세계적인 기관입니다. 오늘은 이 UIAA가 어떤 역할을 해왔는지, 그리고 스포츠클라이밍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부드럽게 살펴보겠습니다.UIAA의 설립과 시작UIAA는 1932년 스위스 체르마트(Zermatt)에서 설립되었습니다. 초기에는 알피니즘(Alpinism, 고산 등반)을 중심으로 활동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암벽등반, 스포츠클라이밍, 빙벽등반 등으로 활동 영역.. 2025. 10. 9.
스포츠클라이밍 멀티피치 클라이밍 알아보기! 멀티피치 클라이밍이란?멀티피치 클라이밍(Multi-pitch Climbing)은 암벽 등반 중에서도 가장 짜릿하고 도전적인 형태입니다. 한 번의 로프 길이로 끝나는 일반적인 싱글피치 등반과 달리, 여러 구간으로 나뉜 긴 루트를 단계별로 올라가는 방식입니다.각 구간을 **‘피치(Pitch)’**라고 부르며, 한 피치는 보통 30~60m 정도의 길이를 가집니다. 이러한 피치들이 여러 개 이어져 하나의 거대한 루트를 이루기 때문에, 등반 전체 길이는 수백 미터에 이르기도 합니다.멀티피치는 단순히 암벽을 오르는 기술뿐만 아니라 팀워크, 계획력, 체력, 집중력이 모두 필요한 종합적인 클라이밍 형태입니다.멀티피치의 진행 과정멀티피치 등반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접근(Approach)루트의 시작점까지 산길.. 2025. 10. 8.
스포츠클라이밍 대한민국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기! 1. 초창기: 산악문화와 전통등반의 뿌리한국의 스포츠클라이밍은 처음부터 존재한 것이 아니라, 오랜 산악문화(登山文化)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전해온 결과입니다.일제강점기(1920~1930년대) 당시, 한국의 젊은 등반가들이 일본 등반가들과 교류하거나 경쟁하면서 국내 산악지대(특히 북한산, 설악산 등)의 암벽을 탐험하기 시작했습니다.이 시기의 등반은 지금의 ‘스포츠클라이밍’보다는 정상 정복을 목표로 한 등산형 암벽등반이 주를 이루었습니다.당시 장비는 단순한 로프, 아이젠, 해머 등으로, 볼트가 박힌 인공 루트가 아니라 자연 암벽을 그대로 오르는 전통 등반(Traditional Climbing) 방식이었습니다.즉, 한국의 암벽등반은 ‘스포츠’라기보다 ‘산악활동의 한 형태’로 출발했습니다.2. 1980년대: 스포.. 2025. 10. 8.
스포츠클라이밍 드라이툴링 알아보기 드라이툴링(Dry Tooling)이란 무엇인가?드라이툴링(Dry Tooling)은 암벽 등반과 빙벽 등반의 기술을 결합한 형태의 클라이밍 종목입니다.기본적으로 클라이머는 손으로 홀드를 잡는 대신 피켈(Ice Axe, 아이스 툴) 과 크램폰(Crampon, 아이젠) 을 이용해 바위를 오릅니다.‘Dry’라는 말은 ‘얼음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즉 얼음 없이 바위나 인공벽을 등반하는 아이스클라이밍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원래는 겨울철 빙벽 등반 훈련용 기술로 시작되었으나, 점차 독립된 스포츠 종목으로 발전했습니다.특히 유럽과 캐나다, 러시아 등에서는 국제대회가 열리며, UIAA(국제산악연맹) 주관의 공식 경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드라이툴링의 역사드라이툴링은 1970~1980년대 유럽 알프스에서 아.. 2025. 10. 7.
스포츠클라이밍 인공암벽장 알아보기! 스포츠클라이밍 인공암벽 완벽 가이드스포츠클라이밍은 자연 암벽이 아닌 인공적으로 제작된 암벽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등반 스포츠입니다. 이 인공암벽은 실내외 어디서나 설치할 수 있으며, 날씨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안전하게 클라이밍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 인공암벽이 무엇으로 만들어지고,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실제로 클라이밍 대회나 훈련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인공암벽의 개념과 역사인공암벽(Artificial Rock Wall)은 자연 암벽을 모방한 인공 구조물로, 스포츠클라이밍, 볼더링, 리드클라이밍, 스피드클라이밍 등 다양한 종목에 맞게 제작됩니다. 1960~1970년대 유럽에서 훈련용 벽으로 처음 도입되었으며, 이후 재질과 디자인이 발전하면서 1990년.. 2025. 10. 7.
스포츠클라이밍 스피드클라이밍 알아보기! 스피드클라이밍(speed climbing)은 스포츠클라이밍의 세 종목 중 하나로, “누가 더 빨리 정상까지 오르는가”를 겨루는 순발력 중심의 경기입니다. 볼더링(Bouldering)이 ‘힘과 문제 해결력’, 리드(Lead)가 ‘지구력과 집중력’을 겨룬다면, 스피드클라이밍은 말 그대로 ‘속도’ 그 자체가 승부의 핵심입니다.이 글에서는 스피드클라이밍의 역사, 경기 방식, 장비, 규칙, 훈련법, 세계 기록, 그리고 한국 선수들의 활약까지 4천 자 이상으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스피드클라이밍의 개요스피드클라이밍은 국제스포츠클라이밍연맹(IFSC)이 주관하는 공식 경기 종목으로, 15m 높이의 표준 벽을 얼마나 빨리 완등하느냐를 겨루는 경기입니다. 루트는 전 세계 대회에서 동일하게 설계되어 있으며, 모든.. 2025. 10.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