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IFSC 세계선수권 서울 리드클라이밍 결승 총정리
일시: 2025년 9월 26일(금) · 장소: 서울 · 데이터 기준: IFSC 공식 보도자료
하이라이트
· 남자: 이도현(대한민국) 43+ 동고점 → 준결승 카운트백으로 금메달
· 여자: 얀야 간브렛(슬로베니아) 유일한 TOP으로 우승, 서채현(대한민국) 44+로 동메달
· 일본은 남자 요시다 사토네(은), 혼마 타이세이(동)로 더블 포디움 달성
· 남자: 이도현(대한민국) 43+ 동고점 → 준결승 카운트백으로 금메달
· 여자: 얀야 간브렛(슬로베니아) 유일한 TOP으로 우승, 서채현(대한민국) 44+로 동메달
· 일본은 남자 요시다 사토네(은), 혼마 타이세이(동)로 더블 포디움 달성
남자 결승 결과(Top 8)
순위 | 선수 | 국가 | 결승 고점 | 비고 |
---|---|---|---|---|
1 | 이도현 | KOR | 43+ | 요시다와 동고점 → 준결승 성적 카운트백으로 금 |
2 | 요시다 사토네 | JPN | 43+ | 카운트백으로 은 |
3 | 혼마 타이세이 | JPN | 42+ | 알베르토와 동고점이나 카운트백 우세 |
4 | 알베르토 히네스 로페스 | ESP | 42+ | 카운트백 열세 |
5 | 스즈키 네오 | JPN | 39+ | |
6 | 삼 아베주 | FRA | 34+ | |
7 | 야콥 슈베르츠 | AUT | 34 | 풋 팝으로 하강 |
8 | 지오반니 플라치 | ITA | — | 첫 월드 레벨 결승 |
여자 결승 결과(Top 8)
순위 | 선수 | 국가 | 결승 고점 | 비고 |
---|---|---|---|---|
1 | 얀야 간브렛 | SLO | TOP | 유일한 TOP |
2 | 로사 레카르 | SLO | 45 | 시니어 세계선수권 첫 은메달 |
3 | 서채현 | KOR | 44+ | 세계선수권 리드 3번째 메달 |
4 | 에린 맥니스 | GBR | 44 | |
5 | 애니 샌더스 | USA | 42+ | |
6 | 젤리아 아베주 | FRA | 35+ | |
7 | 루카 라코벡 | SLO | 30 | |
8 | 플로라 오블라서 | AUT | 29+ |
코스(라우트) 특징 & 크럭스 해설
- 남자 결승 코스: 중상부 43+ 지점이 승부처. 이도현·요시다가 같은 고점(43+)에 도달했으나 준결승 성적 카운트백으로 금·은이 갈렸습니다. 혼마·알베르토는 42+ 동고점에서 카운트백으로 순위가 갈렸습니다.
- 여자 결승 코스: 얀야 간브렛은 유일한 TOP으로 독주. 서채현은 44+로 3위, 레카르는 45까지 진출해 2위를 확보했습니다. 중하부 구간은 볼륨에서의 밸런스·집게 클립 컨트롤이 까다로웠고, 상부는 파워 인 크림프와 체력 관리가 핵심이었습니다.
결승 다시보기 & 결과 허브
- 공식 기사: LEE AND GARNBRET TAKE LEAD WORLD TITLES
- 대회 허브: 일정/뉴스/비디오/결과 탭(결승 이후 업데이트 반영)
- 올림픽닷컴: 전체 일정·결과 종합 페이지(보조 확인용)
용어 간단 정리
- 고점(hold): 선수의 마지막 진행 지점 표기(예: 43+). +는 다음 홀드로의 진행 시도 또는 컨트롤을 의미.
- 카운트백(countback): 결승에서 동고점일 때 준결승(또는 예선) 성적을 비교해 순위를 가르는 규정.
- TOP: 루트를 완등(체인 또는 최종 집게까지)했음을 의미.